- 홈
- FPSB KOREA
- 공지사항
공지사항
- [미국 CFP보드] CFP®자격, 자산관리를 위한 필수자격으로 부각
-
- 2022-02-07
- 조회수 3,639
자산관리(wealth management)가 재무설계(financial planning)로 전환하고 있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많은 금융회사가 재무설계 서비스에 중점을 둔 비즈니스 모델의 채택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상황에서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CFP보드가 셀룰리 어드바이저(Cerulli Advisors)와 에이트 그룹(Aite Group)의 산업 데이터를 종합하여 발표한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자문서비스 혁명(The Advice Revolution)”이라고 명명한 재무설계를 향한 움직임이 점점 커지고 있다. 2013년 재무설계사는 고객의 32.9%에게만 재무설계 서비스를 제공(재무설계 제안서 제공)했지만, 2017년까지 그 수치가 49.6%로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표1).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새로운 잠재 고객의 문의가 급증하면서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고객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금융회사는 더 많은 재무설계사를 고용하고 있다. 일례로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Fidelity Investments)는 2022년에 1,000명의 재무설계사를 고용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자산관리업계는 변화하는 고객층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재무설계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비즈니스를 이끌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자산관리업계는 보다 재무설계 중심적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서비스를 확장하면서, 전문성과 효율성에 관계된 고용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격차를 메우고자 하는 재무설계사는 자신의 커리어를 위해 필수자격으로 CFP자격인증을 고려할 가치가 있다.
자문서비스 혁명의 원동력: 고객 수요, 차별화 및 규제
산업 비즈니스 모델의 모든 구조적 변화와 마찬가지로, 자문서비스 혁명은 증가하는 고객 수요, 차별화 및 규제 등의 주요 요인으로 인해 나타나고 있다(표2).
고객 기대의 변화
CFP보드의 2020년 보고서에 언급된 셀룰리 조사에 따르면, 투자자의 절반 이상(55%)은 “재무설계사가 자신의 니즈, 목표 및 위험수용성향을 완전히 파악하는데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고 답했다. 같은 연구에서 재무설계사의 64%가 재무설계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링컨 파이낸셜 그룹이 2021년 6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 10명 중 6명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지출 빛 저축 방식을 영구적으로 변경할 계획이며, 전문가로부터 재무설계 상담(Financial planning advice)을 받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링컨 파이낸셜의 샤론 스캔론(Sharon Scanlon)은 “소비자들은 재정이 불확실한 시기에 재정 보호에 관심이 많아지기 때문에, 재무설계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낀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트렌드는 현재 경제 환경에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 주식시장 조정 가능성 및 학자금 대출상환 등의 문제에 직면하면서, 재무설계 제안서를 준비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재무설계사는 고객이 자신의 재무설계사가 전문적이고 윤리적인 재무설계 상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재무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고객의 심리 및 동기까지도 파악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재무설계로 인한 차별화와 고객 만족
재무설계(Financial Planning)는 자산관리 분야에서 자신의 업무를 차별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셀룰리 조사에서 재무설계사의 60% 이상이 “CFP자격인증의 재무설계업무수행과정이 자신의 업무를 차별화한다”고 응답했다.
로보 어드바이저, 수수료 없는 고래, 자동 밸런싱 및 투자 등의 환경 속에서 믿을 만한 재무설계 서비스가 두드러지고 있다. 2020년 하트+마인드 스트래티지(Heart + Mind Strategies)의 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CFP자격인증자와 함께 일하는 소비자(84%)는 그렇지 않은 소비자(72%)에 비해 자신의 재무설계사의 자문 역량에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 압력으로 금융회사에게 재무설계 독려
리먼 브라더스 사태 이후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제정한 노동부(DOL)의 강화된 수탁자책임규정(Fiduciary Rule)이 트럼프 정부에서 폐기되면서 오히려 수탁자 기준(fiduciary standard)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보다 최근에 시행된 고객의 최선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규정(Regulation Best Interest)은 금융회사를 재무설계 서비스의 길로 이끌었다. 셀룰리 조사에 따르면, 재무설계사의 42%가 미국 노동부(DOL)의 “이해상충규정(Conflict of Interest Rule)이 업계관계자 사이에서 재무설계를 더욱 대중적으로 만들고 있다”고 답했다.
CFP자격인증으로 대규모 재무설계 가능
고객을 위한 재무설계 제안서를 작성하려면 전문지식, 실무경험 및 관심이 필요하다. 각 고객은 자신만의 니즈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률적인 접근방식은 소용없다. 서비스를 확장하려는 재무설계사는 고객에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 재무설계 제안서를 제공하는 동시에 시기 적절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안서를 작성하길 원할 것이다.
CFP자격인증자인 마이클 킷세스(Michael Kitces)는 증가하는 고객 수요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CFP자격의 전문성이 관건임을 강조했다: “CFP 교육과정을 한 번만 학습하면, 이후 모든 고객에게 시간을 절약하여 지속적인 재무설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CFP자격인증자와 자격이 없는 재무설계사 간의 생산성 차이를 연구한 그의 조사에 따르면, CFP자격인증자는 재무설계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평균 32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자격이 없는 재무설계사는 동일한 프로세스를 거치는데 41시간 이상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CFP자격인증을 통해 재무설계사는 대규모로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표3).
미국 CFP보드는 재무설계에 대한 금융회사와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성장을 위해 CFP자격인증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재무설계사가 자신의 커리어를 위해 필수자격으로 CFP자격인증을 취득해야 하는 이유이다.
참고: Consumers More Open To Planning Advice, Lincoln Financial Finds - Insurance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