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PSB NETWORK
  • 커리어센터
  • 금융이슈

금융이슈

[머니투데이]인구콘서트-'고령화 사회' 은행들의 대응 방안은?
  • 2019-10-23
  • 조회수 113

[김대익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박사 "고객 세분화 통한 차별화된 금융·비금융 서비스 내놔야"]


김대익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박사가 22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주최 '2019 인구이야기 팝콘(PopCon)'에서 '인구와 금융의 미래'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은행은 고객의 자산수준, 연령 등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 미래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 차별화된 금융·비금융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김대익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박사는 22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미디어 주최 '2019 인구이야기, 팝콘(PopCon)'에서 '저출산·고령화의 진행과 은행의 대응 방향'을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박사에 따르면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은행들의 고령층 고객 비중도 확대하고 있다. 2012년 5월 은행 고객 중 60대 이상 점유비중은 2012년 5월 12.1%에서 17.5%로 급증했다. 반면 20대 미만 고객 점유율은 같은 기간 6.1%에서 4.3%로 감소했다.

김 박사는 고령 고객층의 특징으로 실물자산 편중이 높은 것을 꼽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연령별 실물자산 비중은 50대 73.2%, 60세 이상 81.4%로에 달했다. 고령층의 금융대출 규모도 급격히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는 중이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고객 세분화를 통한 차별화된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게 김 박사의 생각이다. △미래설계 자문 서비스 강화 △고령층 전용 계좌 서비스 제공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 △실물자산의 유동화 지원 △대출 및 투자 다변화 △장수위험 대응 △고령자 친화 금융 △비금융 서비스 제공 등이다.

그는 "은행은 고령층에게 각종 연금 등 수취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자산에 대한 지급결제, 잉여 자산의 효율적 관리 등에 대한 차별적인 서비스 제공 역할을 해야 한다"며 "고객의 생애주기 및 목적에 맞도록 자산의 증식, 소득화(현금흐름), 증여·상속·가업승계 등에 대한 전략적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고령화가 은행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고령층 관련 시장의 빠른 성장에 따라 △신탁 △연금 △노후준비 상품 등 관련 분야의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2010년 33조2000억원 규모였던 국내 고령층 비즈니스 시장 규모는 2020년 124조9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은행은 여러가지 투자상품과 보험상품 등 다양한 상품을 스스로 제조하는 게 아니라 제조된 것을 가져다 판매하는 오픈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며 "각 고객에 맞게 상품을 그룹화하고 제공해야 하는 역할을 어떻게 할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시장을 국내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세계로 넓혀 인구파워가 높아 향후 성장잠재력이 높은 동남아 국가 등을 중심으로 금융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대응 노력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는 은행의 사회적 역할도 강조했다. 가령 고령화에 따라 요양시설 및 주·야간보호기관 수요가 빠르게 증가해 부족현상이 심화될 것을 대비해 요양시설 확충 관련 대출·투자를 통해 적정한 수익 창출과 함께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디지털화, 인지능력 저하 등으로 금융에서 소외될 우려가 있는 고령자들을 위한 은행권의 고민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고령자 맞춤 금융서비스 제공과 함께 금융사기 예방 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금융 분야를 넘어 외부 전문 사업자와 제휴를 통해 재취업 교육, 간호·요양, 가사 대행, 소통채널 유지 등 비금융 서비스 제공에도 힘써야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정책당국의 정책적·제도적 지원 필요성도 요구했다. △연금·신탁 상품 및 퇴직임박 계층 등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및 강화 △저소득 계층 지원 △통합연금포털의 연금정보에 대한 연계 서비스 제공 기반 조성 △퇴직연금 자산운용 규제 완화 등 자산관리 지원 △연금자산과 보장성 보험과의 연계서비스 지원 환경 조성 △연금자산 인출시 탄력성 제고 등이다.

김 박사는 "미래설계자들의 안정적인 노후 준비와 은행 등 금융사들이 인구변화관련 상품 및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며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인 과감한 기반 조성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원문기사보기 클릭